최종편집: 2024-06-18 13:45

  • 맑음속초27.2℃
  • 맑음31.1℃
  • 맑음철원31.1℃
  • 맑음동두천31.0℃
  • 맑음파주29.7℃
  • 맑음대관령29.6℃
  • 맑음춘천31.0℃
  • 맑음백령도25.9℃
  • 맑음북강릉29.4℃
  • 맑음강릉30.7℃
  • 맑음동해27.9℃
  • 맑음서울31.3℃
  • 맑음인천25.4℃
  • 맑음원주30.3℃
  • 맑음울릉도27.8℃
  • 맑음수원30.0℃
  • 맑음영월31.4℃
  • 맑음충주29.9℃
  • 맑음서산28.6℃
  • 맑음울진29.6℃
  • 맑음청주31.0℃
  • 맑음대전31.5℃
  • 맑음추풍령30.3℃
  • 맑음안동31.5℃
  • 맑음상주33.9℃
  • 맑음포항30.7℃
  • 맑음군산27.8℃
  • 맑음대구32.6℃
  • 맑음전주31.7℃
  • 맑음울산30.3℃
  • 맑음창원32.3℃
  • 맑음광주32.0℃
  • 맑음부산28.1℃
  • 맑음통영27.9℃
  • 맑음목포29.5℃
  • 맑음여수29.9℃
  • 맑음흑산도28.3℃
  • 맑음완도32.9℃
  • 맑음고창31.7℃
  • 맑음순천30.3℃
  • 맑음홍성(예)30.6℃
  • 맑음29.7℃
  • 맑음제주30.4℃
  • 맑음고산23.4℃
  • 맑음성산30.2℃
  • 맑음서귀포27.5℃
  • 맑음진주33.1℃
  • 맑음강화24.6℃
  • 맑음양평30.0℃
  • 맑음이천31.7℃
  • 맑음인제30.3℃
  • 맑음홍천30.5℃
  • 맑음태백31.3℃
  • 맑음정선군32.4℃
  • 맑음제천29.4℃
  • 맑음보은31.5℃
  • 맑음천안31.0℃
  • 맑음보령29.7℃
  • 맑음부여31.1℃
  • 맑음금산31.6℃
  • 맑음30.2℃
  • 맑음부안30.1℃
  • 맑음임실31.6℃
  • 맑음정읍32.0℃
  • 맑음남원32.1℃
  • 맑음장수30.3℃
  • 맑음고창군30.8℃
  • 맑음영광군30.7℃
  • 맑음김해시33.1℃
  • 맑음순창군31.1℃
  • 맑음북창원32.8℃
  • 맑음양산시34.1℃
  • 맑음보성군32.2℃
  • 맑음강진군31.5℃
  • 맑음장흥31.4℃
  • 맑음해남31.1℃
  • 맑음고흥32.3℃
  • 맑음의령군32.8℃
  • 맑음함양군33.4℃
  • 맑음광양시32.1℃
  • 맑음진도군28.1℃
  • 맑음봉화30.0℃
  • 맑음영주30.8℃
  • 맑음문경31.3℃
  • 맑음청송군31.6℃
  • 맑음영덕30.8℃
  • 맑음의성32.7℃
  • 맑음구미33.4℃
  • 맑음영천32.5℃
  • 맑음경주시33.7℃
  • 맑음거창31.9℃
  • 맑음합천33.9℃
  • 맑음밀양33.3℃
  • 맑음산청33.6℃
  • 맑음거제31.0℃
  • 맑음남해30.4℃
  • 맑음32.9℃
기상청 제공
청양군, 볍씨 전염병 예방 소독법 안내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보도자료

청양군, 볍씨 전염병 예방 소독법 안내

▲ 청양군, 볍씨 전염병 예방 소독법 안내
[굿뉴스365] 청양군농업기술센터가 벼농사를 준비하고 있는 재배농업인을 대상으로 올바른 볍씨 소독방법을 안내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고품질 쌀을 안전하게 생산하는 첫걸음이 건강한 육묘에 있기 때문이다.

종자소독은 1차로 온탕에 담근 후 꺼내 2차로 약제를 사용해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볍씨로부터 감염되는 병해충은 키다리병, 도열병, 이삭누룩병, 깨씨무늬병, 세균성 벼알마름병과 벼이삭선충이 있으며 소독 외에는 별다른 방제 방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 보급종은 이미 소독약제가 묻어있는 만큼 약제가 30~32도 정도의 물 40리터에 볍씨 20kg를 48시간가량 담가둬야 한다.

이때 키다리병 방제 효과를 높일 목적으로 추가 소독제를 투입할 경우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된다.

농가 스스로 채집한 볍씨는 소금물가리기와 온탕소독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탕소독법은 60도 정도의 물 100리터에 볍씨 10kg을 10분간 담근 후 바로 꺼내 냉수에 식히면 된다.

이어 30도 정도의 물 40리터에 약제를 희석한 뒤 볍씨 20kg을 48시간 담가 놓으면 된다.

소금물가리기는 충실한 볍씨를 가려내기 위한 방법이다.

메벼는 물 20리터에 소금 4.2kg, 찰벼는 물 20리터에 소금 1.3kg을 녹인 다음 볍씨를 담근 뒤 가라앉은 볍씨만 골라 쓰면 된다.

고른 볍씨는 깨끗한 물로 세척한 뒤 수분함량 14% 이하로 말리고 온탕소독을 해야 발아율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각 마을회관 게시판에 볍씨 소독법 안내 벽보를 부착했다”며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범위 안에 있는 등록약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