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6-13 17:42

  • 맑음속초23.3℃
  • 맑음33.7℃
  • 맑음철원31.5℃
  • 맑음동두천31.1℃
  • 맑음파주29.2℃
  • 구름많음대관령25.3℃
  • 맑음춘천32.9℃
  • 맑음백령도22.7℃
  • 맑음북강릉26.1℃
  • 맑음강릉29.0℃
  • 구름조금동해25.3℃
  • 맑음서울31.8℃
  • 맑음인천27.6℃
  • 맑음원주32.6℃
  • 맑음울릉도25.3℃
  • 맑음수원29.5℃
  • 구름많음영월30.1℃
  • 맑음충주32.8℃
  • 맑음서산28.6℃
  • 구름많음울진24.4℃
  • 맑음청주32.7℃
  • 맑음대전32.9℃
  • 맑음추풍령32.0℃
  • 맑음안동34.1℃
  • 맑음상주33.9℃
  • 맑음포항25.3℃
  • 맑음군산29.2℃
  • 구름많음대구34.7℃
  • 맑음전주32.3℃
  • 맑음울산29.1℃
  • 구름많음창원29.7℃
  • 구름많음광주32.1℃
  • 맑음부산27.7℃
  • 맑음통영25.2℃
  • 맑음목포27.5℃
  • 맑음여수27.4℃
  • 맑음흑산도24.8℃
  • 맑음완도29.3℃
  • 맑음고창29.0℃
  • 구름조금순천28.5℃
  • 맑음홍성(예)29.7℃
  • 맑음31.2℃
  • 맑음제주27.2℃
  • 맑음고산24.9℃
  • 맑음성산27.6℃
  • 구름조금서귀포26.8℃
  • 맑음진주30.7℃
  • 맑음강화26.3℃
  • 맑음양평32.5℃
  • 맑음이천33.1℃
  • 맑음인제32.1℃
  • 맑음홍천32.4℃
  • 구름많음태백26.4℃
  • 구름많음정선군22.7℃
  • 맑음제천32.0℃
  • 맑음보은32.3℃
  • 맑음천안30.7℃
  • 맑음보령28.4℃
  • 맑음부여33.1℃
  • 맑음금산32.9℃
  • 맑음32.4℃
  • 맑음부안28.3℃
  • 맑음임실31.8℃
  • 맑음정읍32.5℃
  • 구름조금남원31.9℃
  • 구름조금장수30.7℃
  • 맑음고창군30.7℃
  • 맑음영광군28.8℃
  • 맑음김해시29.9℃
  • 구름조금순창군32.0℃
  • 구름많음북창원30.9℃
  • 맑음양산시32.9℃
  • 맑음보성군30.0℃
  • 맑음강진군30.7℃
  • 맑음장흥29.6℃
  • 맑음해남29.7℃
  • 맑음고흥30.0℃
  • 맑음의령군33.5℃
  • 맑음함양군34.0℃
  • 맑음광양시31.0℃
  • 맑음진도군27.0℃
  • 구름조금봉화28.5℃
  • 맑음영주32.1℃
  • 맑음문경32.6℃
  • 맑음청송군33.5℃
  • 맑음영덕24.2℃
  • 맑음의성34.6℃
  • 맑음구미34.9℃
  • 맑음영천32.8℃
  • 맑음경주시33.1℃
  • 맑음거창32.4℃
  • 맑음합천34.6℃
  • 구름많음밀양31.3℃
  • 맑음산청33.1℃
  • 맑음거제27.5℃
  • 맑음남해29.9℃
  • 맑음30.7℃
기상청 제공
안전의 가치에 대하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의 가치에 대하여

천안서북소방서 성거119안전센터 지방소방장 정왕섭
[기고=굿뉴스365] 2014년 4월 16일 수요일 다시 떠올리기도 싫은 진도 앞 해상에서 세월호 대참사가 일어나 전 국민이 슬픔에 빠졌었다. 또한 최근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사고, 경기 고양시외버스종합터미널 화재, 전남 장성 요양병원 화재 등 크고 작은 사고가 연이어 일어나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었다.

필자는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딸과 아들을 둔 학부모이기도 하고 1990년대 중반에 임용되어 지방에서 십 수 년을 119구급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평범한 소방관으로서 이 나라의 모든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당시 비극적 뉴스를 접했을 때 그 충격과 참담함이 큰 파도처럼 밀려왔다.

필자는 그 전부터 다종다양한 사고현장을 출동하며 가졌던 생각이자 이번 사고를 보면서 다시금 다음과 같이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았다.

'과연 안전의 가치는 얼마일까?'

우리는 그 동안 안전에 있어서 너무 안이하고, 무감각하고, 비정상적 불안전에 대해 방관자가 아니었나 다시금 생각해 보며 이런 엄청난 세월호 대참사를 보면서 중학생인 아들에게 엉뚱한 질문을 해 보았다. "아들아, 과연 안전의 가치는 얼마일까?"라는 객관식 질문이었다. "1번 천원, 2번 백만원, 3번 1억원, 4번 10억원 ......" 이라고 물으니 다소 나의 어리석은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안전의 가치는) 따질 수 없잖아요!"라고 너무나도 당연하다는 듯이 현명한 답을 했다.

그렇다! 안전이란 값을 메길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가치 그 이상의 것이다. 우리는 그 동안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안전불감증이 만연한 설마의식 속에 빠져 있지는 않았나 자성을 해 보아야 하겠다.

이제 우리는 '안전(安全) = 생명(生命)'이라는 공식을 하나의 대원칙으로 하고, 일상생활에서 매일 밥을 먹어야 하는 것처럼 안전문화를 생활화해야 한다. 또한 국가안전관리시스템의 재정비 뿐만 아니라 심정지 환자가 불과 수 분 내에 심폐소생술로 심폐기능이 돌아오지 않으면 생존하기 곤란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박한 심정으로 곳곳에 만연되어 있는 안전불감증을 도려내야 한다.

안전이 기본인 사회를 만들어 후대에 이런 후진국적 사고를 절대로 되풀이해선 안 될 것이다. 왜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이런 많은 인명피해를 보고 “안전의 가치”가 얼마만큼 중요한 것인가를 깨닫고 때늦은 후회를 해야만 하는지 심히 안타깝고 답답하기 그지없다.

이번 세월호 대참사는 많은 복합적 원인이 혼재된 사고라고 밝혀지고 있지만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와 관련된 수많은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밝힌 하인리히법칙?¹?처럼 큰 사고는 우연히 또는 어느 순간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사소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면밀히 살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잘못된 점을 고치면 대형사고나 실패를 방지할 수 있지만, 징후가 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방치하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음을 우리는 경험을 통해 익히 알고 있다. 다시 말하면 과거 악습이 계속 쌓이고 또 그 사이에 부조리가 결합되어 일어난 안전불감증에 의한 전형적인 대형 인재(人災)라는데는 별 다른 이견이 없을 것이다.

앞으로 무엇보다도 "안전"이 매사에 기본인 사회만들기에 동참하여야 하겠으며 더 이상 "안전"이 모든 일에 있어 후순위로 밀리는 일이 없어야 한다. 최근 일어나고 있는 참사들처럼 후진적 사고를 서로서로 감시자가 되어 우리 모두 용납해선 안 된다. 차디찬 바닷물 속에서 억울하게 절규하며 희생된 많은 영령들과, 슬픔을 고통 속에 감내하며 살아가야 하는 분들이 진정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절박한 심정으로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사회 구석구석에 뿌리내려져 있는 검은 적폐(積弊)를 일소(一掃)하는데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이 실천에 옮겨야 할 때이다.

천안서북소방서 성거119안전센터 지방소방장 정왕섭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