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6-17 03:29

  • 맑음속초23.6℃
  • 맑음16.5℃
  • 맑음철원15.3℃
  • 맑음동두천17.0℃
  • 맑음파주15.3℃
  • 맑음대관령14.8℃
  • 맑음춘천16.1℃
  • 맑음백령도20.9℃
  • 맑음북강릉20.8℃
  • 맑음강릉24.3℃
  • 맑음동해23.7℃
  • 맑음서울20.3℃
  • 맑음인천19.4℃
  • 맑음원주18.6℃
  • 맑음울릉도22.6℃
  • 맑음수원16.6℃
  • 맑음영월15.7℃
  • 구름많음충주15.8℃
  • 구름많음서산17.4℃
  • 구름조금울진21.0℃
  • 구름많음청주21.5℃
  • 구름많음대전18.5℃
  • 구름많음추풍령17.2℃
  • 구름많음안동17.8℃
  • 흐림상주20.7℃
  • 구름많음포항22.4℃
  • 구름조금군산18.8℃
  • 구름많음대구21.4℃
  • 구름많음전주19.8℃
  • 구름조금울산19.5℃
  • 구름많음창원22.0℃
  • 구름많음광주20.1℃
  • 구름많음부산23.7℃
  • 구름많음통영20.5℃
  • 박무목포20.4℃
  • 구름많음여수22.0℃
  • 흐림흑산도20.2℃
  • 구름많음완도19.2℃
  • 구름많음고창17.1℃
  • 구름많음순천14.5℃
  • 박무홍성(예)18.0℃
  • 흐림16.7℃
  • 흐림제주21.4℃
  • 흐림고산21.0℃
  • 흐림성산19.4℃
  • 흐림서귀포22.2℃
  • 구름많음진주17.0℃
  • 맑음강화16.9℃
  • 맑음양평16.7℃
  • 맑음이천16.4℃
  • 맑음인제15.1℃
  • 맑음홍천16.7℃
  • 맑음태백17.1℃
  • 맑음정선군13.8℃
  • 맑음제천14.8℃
  • 구름많음보은15.6℃
  • 구름많음천안16.1℃
  • 구름많음보령16.8℃
  • 구름많음부여16.9℃
  • 구름많음금산16.5℃
  • 흐림17.7℃
  • 구름조금부안18.4℃
  • 구름조금임실15.8℃
  • 구름조금정읍17.4℃
  • 구름많음남원16.9℃
  • 구름많음장수13.8℃
  • 구름조금고창군16.5℃
  • 구름많음영광군17.7℃
  • 구름많음김해시21.7℃
  • 구름조금순창군16.5℃
  • 구름많음북창원21.7℃
  • 구름많음양산시20.6℃
  • 구름많음보성군19.8℃
  • 흐림강진군18.1℃
  • 구름많음장흥18.0℃
  • 흐림해남18.3℃
  • 구름많음고흥17.3℃
  • 구름많음의령군17.6℃
  • 구름많음함양군15.5℃
  • 구름많음광양시19.0℃
  • 흐림진도군17.3℃
  • 구름많음봉화14.5℃
  • 구름많음영주18.0℃
  • 구름많음문경18.1℃
  • 흐림청송군13.9℃
  • 흐림영덕22.3℃
  • 흐림의성15.6℃
  • 구름많음구미19.8℃
  • 구름많음영천17.6℃
  • 구름조금경주시18.3℃
  • 구름많음거창14.6℃
  • 구름많음합천17.2℃
  • 구름조금밀양19.6℃
  • 구름많음산청17.0℃
  • 구름많음거제19.6℃
  • 구름많음남해20.1℃
  • 구름많음20.0℃
기상청 제공
[기고] 은 3근을 돌려 줄 것인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은 3근을 돌려 줄 것인가

▲천안동남경찰서 청문감사관실 경사 윤진광
[굿뉴스365] 고려시대 명종 때 현덕수라는 무신이 있었다. 그는 서경에서 조위총의 난이 일어나자 연주성을 지킴으로써 주민들의 추대를 받고 그 공으로 병부상서에까지 이르렀다.

지방 살이를 마치고 개성으로 돌아온 현덕수는 집을 장만하기 위해 애쓰다가 노극청이라는 선비의 집을 계약하였다. 그런데 그 날 저녁 노극청이라는 선비가 현덕수를 찾아와 계약을 무르자고 한다. 이유는 몇해전 은 아홉 근에 산 집을 아내가 은 열두 근에 팔았으니 자기의 청렴을 더럽힌 것이란다.

이에 현덕수는 지금의 시세를 받은 것인데 무슨 해가 되겠느냐며 거절하고, 노극청은 처음 가격보다 더 받은 은 세근을 돌려주겠다고 고집한다. 이에 질세라 현덕수는 “당신만 청렴함을 고집하지 마시오. 나도 평생 동안 의롭지 않은 일은 해 본 적이 없소. 남의 집을 제값보다 싸게 샀다는 말은 결코 듣고 싶지 않단 말이오”하며 실랑이를 하다 결국은 그 은 세근을 절에 시주하는 것으로 결말을 지었다.

이 이야기는 고려시대 공직자들의 청렴에 관한 실화로서 초등학교 4학년 국어교과서에 실려 있다. 기말고사를 준비하던 딸이 위 이야기의 의미를 깨닫지 못해 함께 읽어보며 청렴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그러나 이야기를 읽는 내내 속으로 웃음이 나왔다.

누구나 부동산 재테크를 꿈꾸는 현 자본주의 자유경제시대에서 선뜻 공감할 수 없는 내용이다. 그렇게 이야기를 두어 번 읽어보다. 요즘 시대에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경찰관의 청렴에 관한 실화가 있다면 무엇이 좋을까 생각해봤다. 직무에 관련한 비밀 누설하지 않기, 직무 관련자에게 뇌물 받지 않기 등등.. 그러고 보니 경찰관에게 청렴이란 결국은 원칙을 지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경우나 같은 잣대로 원칙을 지켜나갈 때 경찰조직이 신뢰를 받고 그것이 곧 경쟁력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매스컴의 발달로 경찰관 한 사람의 부정부패가 한 사람만의 부패가 아닌 경찰 조직 전체가 부패한 조직으로 비춰지는 요즘 더욱 청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을 해볼 문제이다.

천안동남경찰서 청문감사관실 경사 윤진광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