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6-18 04:13

  • 맑음속초27.7℃
  • 맑음14.9℃
  • 맑음철원15.4℃
  • 맑음동두천16.7℃
  • 맑음파주18.0℃
  • 맑음대관령11.9℃
  • 맑음춘천14.8℃
  • 구름조금백령도20.4℃
  • 맑음북강릉22.9℃
  • 맑음강릉25.6℃
  • 맑음동해22.6℃
  • 맑음서울21.1℃
  • 맑음인천20.7℃
  • 맑음원주17.5℃
  • 구름조금울릉도20.8℃
  • 맑음수원17.5℃
  • 맑음영월14.2℃
  • 맑음충주14.6℃
  • 맑음서산16.7℃
  • 맑음울진20.7℃
  • 맑음청주19.6℃
  • 맑음대전17.4℃
  • 맑음추풍령16.8℃
  • 구름조금안동16.8℃
  • 맑음상주20.7℃
  • 구름조금포항22.2℃
  • 맑음군산18.0℃
  • 맑음대구19.9℃
  • 맑음전주18.4℃
  • 박무울산18.0℃
  • 구름많음창원18.9℃
  • 맑음광주19.4℃
  • 구름많음부산20.3℃
  • 구름조금통영18.1℃
  • 박무목포19.6℃
  • 맑음여수19.6℃
  • 박무흑산도19.5℃
  • 맑음완도17.5℃
  • 맑음고창16.5℃
  • 맑음순천15.0℃
  • 박무홍성(예)16.3℃
  • 맑음14.7℃
  • 맑음제주19.4℃
  • 맑음고산19.4℃
  • 맑음성산16.8℃
  • 맑음서귀포17.8℃
  • 맑음진주16.3℃
  • 맑음강화18.0℃
  • 맑음양평16.0℃
  • 맑음이천15.5℃
  • 맑음인제14.6℃
  • 맑음홍천15.0℃
  • 맑음태백15.0℃
  • 맑음정선군13.2℃
  • 맑음제천13.2℃
  • 맑음보은14.5℃
  • 맑음천안14.1℃
  • 맑음보령16.7℃
  • 맑음부여14.4℃
  • 맑음금산14.7℃
  • 맑음15.1℃
  • 맑음부안17.3℃
  • 맑음임실14.8℃
  • 맑음정읍16.8℃
  • 맑음남원16.0℃
  • 맑음장수13.2℃
  • 맑음고창군15.6℃
  • 맑음영광군17.1℃
  • 구름많음김해시18.9℃
  • 맑음순창군16.2℃
  • 구름많음북창원19.7℃
  • 흐림양산시19.6℃
  • 맑음보성군19.4℃
  • 맑음강진군16.4℃
  • 맑음장흥16.6℃
  • 맑음해남15.5℃
  • 맑음고흥15.9℃
  • 구름조금의령군17.1℃
  • 구름조금함양군14.9℃
  • 맑음광양시18.3℃
  • 맑음진도군14.8℃
  • 맑음봉화13.5℃
  • 맑음영주18.1℃
  • 맑음문경19.0℃
  • 맑음청송군14.2℃
  • 구름조금영덕21.8℃
  • 구름조금의성15.2℃
  • 맑음구미18.3℃
  • 구름조금영천17.9℃
  • 구름많음경주시17.7℃
  • 구름조금거창13.9℃
  • 맑음합천16.2℃
  • 구름많음밀양18.2℃
  • 구름조금산청15.7℃
  • 구름많음거제17.0℃
  • 맑음남해18.0℃
  • 흐림18.3℃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세종명동서일필(世宗鳴動鼠一匹)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 세종명동서일필(世宗鳴動鼠一匹)

송경화.jpg
송경화 대표기자

 

[굿뉴스365] 세종명동서일필(世宗鳴動鼠一匹) 세종시가 울리듯 요란스러웠으나 쥐 한 마리 뿐이었다.


같은 말로 용두사미(龍頭蛇尾)를 쓰기도 하는데 용두사미보다는 어감이 좀 더 강해 보이기도 하고 중국스러운 말이다.


하지만 이 말의 어원은 뜻밖에도 로마의 계관시인인 호라티우스의 시학(Poetica)이다. 시학의 내용 중 ‘산들이 산고 끝에 우스꽝스런 생쥐 한마리를 낳았다’라는 것을 중국어로 의역한 것이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이다.


우리의 속담과 비슷한 것을 찾자면 ‘빈 수레가 요란하다’ 정도랄까.


세종시 사회서비스원이 원장을 선임하며 불거진 임원추천위원회 추천기관에 대한 논란이 그렇다.


이후 민주당을 중심으로 세종시 출자출연기관 운영 관련 개정조례안이 발의되었고 발의자 변경 과정과 의결을 거쳐 시장의 재의요구와 재량사업비 운운 등 논란을 거쳐 재의결, 그리고 공포와 대법원 제소과정까지 적게는 54일, 많게는 100일이 걸렸다.


이 기간 동안 세종시와 세종시의회는 언론과 시민들께 참 많은 것을 보여 주었다.


세종시의회가 아니더라도 국회의 돌아가는 모양새를 봐온 국민들은 익히 알고 있지만 소위 ‘여소야대’로 불리는 패거리 정치의 폐해를 세종시에서 다시 보게 된다.


제4대 세종시의회는 지난 초대부터 3대 의회까지 10년간 의회가 보여준 시행착오와 못 볼 것을 불과 1년도 안되는 사이에 다 보여주었다.


물론 정치지형이 변한 탓일 것이다.


세종시도 마찬가지다. 

 

집행부가 바뀌고 과거 의회와 사이가 여와 여의 돈독한 사이에서 이제는 다수 야를 상대해야 하고 지난 8년과는 확연히 다른 정치지형인 점을 고려해야겠지만 ‘이러려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했나?’라는 의문이 들만큼 반목과 갈등이 심하다.


시의회의 집행부에 대한 견제는 확실해 보이지만 균형은 좀처럼 찾기 어렵다.


이런 지경이니 ‘좁쌀이 굴러 호박’이 되고, 태산명동서일필이란 말이 나오는게 아닌가.


50여일의 반목과 대립으로 인한 너덜너덜한 상처 속에서 결국 해당 대상기관은 ‘세종시문화재단’ 한 곳 뿐이다.


현재 시장 3명, 의회 2명, 이사회 2명인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을 시장 몫에서 1명을 가져와 의회 몫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러니 의회가 특정인을 위한 조례 개정이 아니냐는 의혹과 비아냥을 듣는 것이다.


단 한곳의 출연기관 임원도 아닌 임원을 추천하는 위원 위촉수를 가지고 시와 의회는 반목과 대립의 끝을 보여준 것이다. 

 

더구나 의장이 나서 시장의 제안이 법에 어긋나는 위법이라고 강변했지만 어떤 법을 위반한 것인지 기자의 짧은 법 지식으론 찾을 길이 없다. 다만 정관이 정한 바를 어기는 것인데, 정관을 바꾸려고 시도한 것은 의회가 먼저라서 누구의 말이 맞는 걸까?


이러니 ‘빈 수레가 요란하다’할 것이고 세종명동서일필이란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닌 듯싶다.

   

 

관련기사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