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충남도민 먹는 물 관리 충남도와 시·군 협업시스템 필요”

기사입력 2019.07.09 20:21
김명숙 의원 “식수관리 사각지대 소규모마을 급수시설 대책 ”

[굿뉴스365] 충남도의회 김명숙 의원(청양)은 9일 열린 제313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지방상수도 급수대상에 포함되지 못하는 소규모마을 급수시설 관리 및 상수도급수 대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220만 충남도민들이 사용하는 식수 중 지금도 5만1834명이 지하수나 계곡수 등 소규모 급수시설에 의존한다며 지방상수도나 마을 상수도는 정기적으로 수질검사가 이뤄지고 체계적인 물 관리를 받지만 소규모 급수시설 대상인 자연마을 주민에 대한 먹는 물 관리는 검사항목에 따라 1~2년 또는 분기에 한번 씩 하는 수질검사 정책은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방상수도 공급권역의 주민들에게는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해 시설비, 노후수도관 교체비 등 막대한 예산을 쓰는데 비해 자연마을 주민들은 안전한 상수도를 사용하고 싶어도 관로 시설 등의 공사비용 때문에 공급 받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다”며 “충남도는 시·군에만 물 관리 책임을 맡겨두지 말고 시·군과 먹는 물 관리 협업시스템을 만들어 도민에게 차별 없는 고른 물 관리 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먹는 물 정책은 큰 동네에 살거나 동네에서 멀리 떨어져 살거나하는 주민들에게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먹는 물 공급정책은 지방상수도 뿐만 아니라 소규모 급수시설도 안전한 식수 공급 및 관리체계가 이뤄져야한다”고 덧붙였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