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우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부당해고 철회 촉구

기사입력 2019.02.25 13:50
25일 기간제 비정규직 집단해고 계룡시 규탄 기자회견
“계룡시, 기간제비정규직 집단해고 철회하고 정규직전환 시행하라”

[굿뉴스365] “우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민주일반연맹 세종충남지역본부와 공공연대노동조합은 25일 기간제 비정규직 집단해고 계룡시 규탄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이날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계룡시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징부의 나쁜 정책이라 이야기하며 지자체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핑계로 제대로 된 무기직 전환을 진행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사용하다 버리는 일회용 상품이 아니다”라고 성토했다.

또 “작년 전환심의위원회에서 전환 대상과 방식을 결정한다고 답변하고 뒤에서는 "미전환”이 바람직하다는 밀실행정을 진행하고 반대여론이 높아지자 고작 12명에 대해 제한경쟁 방식으로 전환을 서둘러 마무리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은 상시 지속적 업무에 대해 비정규직을 점차 줄여나가겠다는 것으로 이는 사회 양극화와 차별 문제를 해결하라는 국민의 요구 이자 명령이다”라고 역설했다.

이들은 “사실상 신규채용과 다름없는 제한경쟁에서 계룡시에서 일한 근무경력을 다 합치 면 60개월이 넘는 기간제 노동자마저도 탈락을 시켰다”며 “여러 지자체에서는 기간제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하고, 간접고용 노동자까지 정규직 전환을 진행하고 있는데 계룡시에서는 거꾸로 기간제 비정규직을 해고시킨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작년 12월말 해고가 된 100여명의 기간제는 여전히 일터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이 모든 문제의 근본적 원인은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완전히 거부하는 계룡시에 있다”고 주장했다.

또 “계룡시는 그동안 기간제 노동자에 대해서 퇴직금도 안 나오는 11개월 계약을 하더니 이제는 9개월 이상이면 상시지속적 업무로 본다는 정부지침이 나오자 8개월 계약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노동존중, 인간중심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이 계룡시에서는 오히려 박근혜 시절만도 못한 기간제 죽이기 정책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지자체의 관리 감독의 책임이 있는 충남도청도 더 이상 수수방관 하지 말고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끝으로 “민주일반연맹 세종충남지역본부와 공공연대노동조합은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backward top home